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구글지도
- MAUI
- SecureStorage
- aws lambda
- n8n
- iOS노치
- xcode13
- AWS
- hot reload
- 닷넷
- vpc
- 망할
- 배포
- 흑우마스터
- ASP.NET Web API
- 비주얼스튜디오2022
- 안드로이드
- .net maui
- ABLY
- Android
- c#
- 구글맵
- Xamarin Forms
- Xamarin
- 자마린
- 개발
- 지도
- Cloudflare
- 프로그래밍
- v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1)
흑우마스터의 마법의 공간

현재 Xcode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면 Visual Studio for Mac에서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세팅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OS 버전이 올라갔기 때문에 신규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실행하면 오류가 날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우선 터미널에서 라이센스에 동의를 해야 한다 xcodebuild -license 라고 입력 후 agree를 해줘야 되며 이후에도 xcodebuild -runFirstLaunch 라는 명령어까지 입력해주는 것으로 시작된다. .NET 6까지 설치한 개발자라면 처음 프로젝트 생성 시 .NET 7 등을 볼 수 없으며 이 때에는 Visual Studio for Mac installer를 통해 다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된다 https://visualstudio.microsoft.c..

C:\Users\{윈도우 로그인계정}\AppData\Local\Xamarin\MonoTouch 위 경로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을 만날 수 있다. 혹시 모르니 백업을 해두고 지우던가 하위 폴더를 만들어서 옮겨 놓자. 그리고 비주얼스튜디오를 다시 열고 Mac 페어링을 시도하면 기존에 등록 되어 있던 페어링 Mac 목록이 사라지고 처음부터 다시 등록할 수 있으며 이때 맥의 IP를 등록하면 SSH 지문과 맥 사용자 이름, 암호를 다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깔끔
우선 Platform -> Android에 있는 AndroidManifest.xml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manifest 하위 노드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그리고 웹뷰 컨트롤을 플랫폼별로 따로 처리해주어야 되는데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WebViewClient를 상속 받은 커스텀 객체의 인스턴스를 넣어주었다. 물론 플랫폼 별로 WebViewHandler를 구현해줘도 되지만 테스트해본 결과 이렇게 작성하면 실제로 동작하지 않은 이상한 버그가 있다. 아마 생성시점에 만들게 되면 적용을 해도 우리가 필요한 ShouldOverrideUrlLoading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므로 다음과 같이 선언하는게 맘 편하다 #if ANDROID var androidWebview = this.webview.Handler.Pla..

Intent intent = new Intent(Android.Provider.Settings.ActionAppNotificationSettings); intent.PutExtra("app_package", Android.App.Application.Context.PackageName); intent.PutExtra("app_uid", Android.App.Application.Context.ApplicationInfo.Uid); intent.PutExtra("android.provider.extra.APP_PACKAGE", Android.App.Application.Context.PackageName); intent.AddFlags(ActivityFlags.NewTask); Android.App.App..

// I choose mipmap-xxxhdpi icon size :) Platforms->Android->Resources 아래에 폴더를 만들고 ic_stat_onesignal_default를 만들어주면 됨 drawable 폴더 아래 폴더들을 만들고 그 안에 ic_stat_onesignal_default.png 파일을 크기에 맞춰 넣어주고 buildAction을 androidresources로 바꿔줄 것 물론 Onesignal나 다른 서비스에서 smallIcon의 값을 다른 파일 이름으로 넣으면 바꿔서 출력 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런 것도 귀찮은 사람이라면 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라이믹스(XE의 다음 버전 같은 CMS) 라는 서비스가 있다. 회사 내에서 내가 입사 하기 전 빨리 상품을 만들고 싶어서 이 것을 쓴 것 같은데 너무 덕지덕지 난개발을 해놓기도 해놓고 커스텀을 많이 해놔서 찾아볼 수가 없는 구조였다. 무엇보다 관계형 디비에 관계를 다 끊어놓아져 있다는게 최대 단점인데 이게 라이믹스가 그런건지 개발자가 이렇게 해놓은건지 너무 짜증났던 상황이었는데 (사실 제일 심각한 건 디비랑 서버를 같이 묶어서 카페 24 단독 서버에 하나의 인스턴스로 박아놨다는 것이다) 외부에 별도로 서비스를 만드는 상황에 포인트를 아무리 데이터베이스에 뒤져봐도 이렇다할 데이터가 없었다. point_logs 라는 쪽에 뭔가 있긴 했는데 이게 현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포인트를 전부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이..

카페 24에서는 SSH 터널링을 지원하지 않는다. 망할 회사의 서비스는 이 전 개발자가 인스턴스와 PHP, DB를 하나로 묶어서 배포했다. 덕분에 카페 24 MYSQL DB를 사용해야 되게 되었고 PHP 라이믹스로 해놔서 이거 분리도 쉽지 않았다. 여기서 고민해볼만한 건 일정 주기로 필요한 데이터를 정리해서 주고 받는 서비스를 카프카던 뭐던 만들어서 서버를 만들려고 했지만 이 건 서버나 장애가 발생했을 때 물려 있는게 많이 생기므로 뭔가 쉬운 방법이 필요했다. 특히 AWS ECR을 쓰고 있고 Fargate로 클러스터를 구축해놓았는데 정적 IP를 매번 할당해도 되지만 이 건 또 같은 망에 VPC를 이용해야 되니 절차가 너무 복잡했다. 정적 IP를 연동 안해놓으면 IP가 버전업이 될때마다 계속 바뀌니까 이것..

공유기를 유플러스에서 IPTIME으로 바꾼지 한달이 되어 가는 시점인데 간헐적으로 인터넷이 끊기더니 어느 순간부터는 출근만하면 인터넷이 끊어지는 증상이 발생했다. 집에는 서버도 있고 NAS도 있다보니 외부 연결도 해둔 상태인데다가 Proxmox에서 Cloudflare로 Tunnel 연결해놓은 서비스들이 많다보니 일할 때 데이터베이스가 안되버리면 낭패인 상황이었다. A/S를 맡겨야 되나.. 고민하다가 고객센터에 전화해보니 되게 해맑게 이런 증상이 1년전 부터 있었다면서 원격지원으로 알려줬는데 통신사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패킷이 일정시간 없으면 인터넷이 절전모드처럼 먹통이 되어버린단다 -,.-; 아니 공유기를 24시간 쓰는 사람이 어디있다고.. 아니..이 양반들아. 이걸 그럼 펌웨어로 초기 설정을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