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닷넷
- Cloudflare
- hot reload
- 지도
- MAUI
- 구글지도
- xcode13
- Android
- AWS
- Xamarin Forms
- n8n
- 비주얼스튜디오2022
- c#
- 자마린
- v
- 망할
- ASP.NET Web API
- 안드로이드
- ABLY
- 흑우마스터
- aws lambda
- Xamarin
- iOS노치
- .net maui
- 개발
- 배포
- 구글맵
- 프로그래밍
- SecureStorage
- vpc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Xamarin (30)
흑우마스터의 마법의 공간

// I choose mipmap-xxxhdpi icon size :) Platforms->Android->Resources 아래에 폴더를 만들고 ic_stat_onesignal_default를 만들어주면 됨 drawable 폴더 아래 폴더들을 만들고 그 안에 ic_stat_onesignal_default.png 파일을 크기에 맞춰 넣어주고 buildAction을 androidresources로 바꿔줄 것 물론 Onesignal나 다른 서비스에서 smallIcon의 값을 다른 파일 이름으로 넣으면 바꿔서 출력 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런 것도 귀찮은 사람이라면 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WPF를 줄곳 해서 그런가 당연히 될 줄 알았던 건데 실제로 MAUI의 데스크탑으로 열게 되면 동작을 하는 기능입니다. 대게 실수 할 수 있는 부분은 Width를 제대로 주지 않아서 영역 밖으로 쭉 나가버리는 경우는 있긴한데 그 문제는 아니고 단톡방에 한 분이 LinebreakMode랑 MaxLine을 같이 줬는데 ...이 안 생긴다고 물어보셔서 "에잉 높이가 안 정해져서 안되겠지" 라고 생각했지만 진짜 안됐네요 아래 구문을 MauiProgram.cs에 포함시켜주세요 static void AllowMultiLineTruncation() { static void UpdateMaxLines(Microsoft.Maui.Handlers.LabelHandler handler, ILabel label) { #if ..

아마 자마린하고 MAUI 둘다 적용하는 건 같을거라 MAUI Android 프로젝트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입니다. 우선 자마린에서 Xamarin.Forms.Map 을 구현하고 간단하게 핀 정도를 구현해주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구성 됩니다. 해당 맵에서 특정 좌표를 찍었다고 쳐도 기본 제공 핀 이외에 다른 정보가 너무 많기 때문에 굉장히 지저분해보입니다. 이 것을 바꿔보고자 합니다 기본 컨트롤에서 무언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 컨트롤을 상속 받아 커스텀 컨트롤을 만들고 커스텀 렌더러를 구현하기로 합니다. Xamarin Forms 프로젝트에는 위와 같이 그냥 형식적인 맵을 만들어주기로 합니다. 그 후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 커스텀 렌더러를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가져오게 되면 기본적으로 제공 하는 현재..
Entry에서 타이핑을 하는 상황에서 ScrollView를 선택하거나 다른 페이지를 이동하더라도 키보드가 그대로 오버 된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물론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작업할 때에는 네임스페이스 위에 Dependency를 선언해줘야 된다. [assembly: Dependency(typeof(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명))]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IKeyboardHelper { void HideKeyboard(); } iOS: public class iOSKeyboardHelper : IKeyboardHelper { public void HideKeyboard() { UIApplication.SharedApplication.KeyWind..

간단하게 경로명에 ASCII 문자가 들어가 있으면 안됩니다. 폴더명을 영어로 바꿔주셔야 되는데 계정명이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Git 등 Repo를 잡을 때 자연스럽게 C:\User\사용자명 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윈도우 사용자명을 교체하던가 소스코드가 들어있는 프로젝트들을 별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끝-

제목 그대로 VS2022 MAC이 정식 출시 되면서 .NET 6 업데이트 등 많은 기능이 출시 되었는데 업데이트를 아무 생각 없이 하다보면 Xcode도 13.4 까지 올려야 되서 처음부터 받아야 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문제는 업데이트를 하고나면 신규 프로젝트는 정상적으로 iOS 프로젝트가 빌드가 되어 시뮬레이터가 열리지만 최신 버전 중에서도 15.10.0.1 근처 버전까지 업데이트를 하고나면 패키지 경로 문제 등이 발생으로보이는 에러로 인해 디버그에는 실패가 없지만 정작 에뮬레이터로 열면 바로 죽어버리면서 꺼지는 충돌 증상이 있습니다. https://github.com/xamarin/xamarin-macios/issues/14834 Unable to deploy to iOS 15.4 emulator · I..

맥에서 작업하고 윈도우 노트북으로 Git을 통해 가져와서 작업하면 발생하는 오류인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 Release 형태로 보관기능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에러를 만날 수 있는데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도구 -> 옵션-> Xamarin -> Android 설정 -> 보관위치를 다른 폴더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해결완료! 끝

릴리즈(활성) 모드에서 배포를 진행하면 iOS는 문제가 없지만 Android는 보관 시에 이런 경고를 만날 수 있다. 이 경우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누른 후 디버깅 옵션을 확인하여야 되는데 의식적으로 Android 빌드 쪽에 컴파일러니 Shrinker 쪽을 건드려야 될거라 생각했으나 거기가 아니고 왼쪽 탭 메뉴 중에 컴파일러에 들어가야 된다. 이 부분이 문제가 되는 것인데 디버그 정보 항목에 이식가능을 없음으로 변경한다 깔끔띠!!!!!!!!!